Post

[개발 방법론] - 애자일(Agile)

0. 들어가기에 앞서


이번에 설명하고자하는 방법론은 애자일 방법론입니다.
어떠면 어디선가 들어봤을 수 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자일하게 일해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애자일은 민첩하게 일하라는 뜻일겁니다.
그러면 애자일 방법론에서 애자일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그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번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1. 애자일 방법론 이란?


  • 애자일이라는 말처럼 피드백을 신속하게 고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식을 추구합니다.
  • 짧은 스프린트 내에서 작은 단위 기능을 완성하고 배포하여 빠른 피드백 수용이 가능합니다.
  • 명확한 계획없이 도입하면 프로그램 개발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각단계별 문서화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 애자일 방법론에는 XP, 스크럼, 칸반 등이 있습니다. 이는 추후 추가 포스팅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 애자일(Agile) 특징


1.계획
2.분석
3.설계
4.구현
5.시험
6.유지보수

2.1) 애자일 방법론 설명

애자일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유연성과 반복적인 개발을 강조하는 방법론입니다.
고객의 요구사항은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런 요구사항에 빠른 대응을 위해 짧은 주기로 개발을 진행하고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받습니다.
이런 방법론은 개발의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3. 애자일 주요 용어


용어설명
스프린트(Sprint)특정 기간(보통 1~4주) 동안 정해진 작업을 완료하는 애자일 개발의 주기 입니다.
백로그(Backlog)프로젝트의 모든 작업 항목 목록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처리합니다.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해당 스프린트에서 처리할 작업 항목들의 목록입니다.
스크럼(Scrum)팀원들과 작업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짧은 회의를 말합니다.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매일 진행하는 짧은 회의로, 보통 각자의 진행 상황과 문제점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PO(제품 책임자, Product Owner)제품의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백로그를 관리하는 역할자 입니다.
SM(스크럼 마스터, Scrum Master)스크럼 진행을 돕고 팀의 원활한 협업을 지원하는 역할자 입니다.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남은 작업량을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시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하는 도구입니다.
이터레이션(Iteration)스프린트 동안 반복되는 작업 단위입니다.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한 작업 항목입니다.
칸반(Kanban)작업 흐름을 시각화하여 작업의 진행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있게해줍니다.
MVP(최소 기능 제품, Minimum Viable Product)가장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제품을 빨리 출시하여 고객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합니다.
리팩토링(Refactoring)코드의 기능은 변경하지 않고 성능이나 가독성을 개선하기 위해 구조를 재조정하는 과정입니다.
벨로시티(Velocity)팀이 한 스프린트 동안 완료한 작업량을 측정한 값입니다.


4. 정리


장점단점
고객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합니다.명확한 계획이 없을 경우 혼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발 도중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합니다.프로젝트 범위가 계속 확장될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문서화가 부족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팀 간 협업이 활발합니다.팀원 간의 의사소통 실패 시 문제가 발생합니다.
작업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조정이 가능 합니다.경험이 부족한 팀에게는 빠른 개발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습니다.
제품을 일찍 그리고 자주 배포 가능 합니다.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와 피드백을 반영이 가능합니다.고객이 자주 참여하지 않으면 효과가 떨어집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자일 기법에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애자일 기법은 사실 XP, 스크럼, 칸반등의 방법론을 묶어서 부르는 말에 가깝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애자일 방법론의 종류에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점 혹은 포스팅에 의문이 있으신분들께서는 댓글주시면 확인한 후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만 가보겠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