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KT AIVLE] 11주차 정리(5차 미니프로젝트, 6차 미니프로젝트)

0. 개요


이번주에는 시각지능 딥러닝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5차 미니프로젝트5차 미니프로젝트6차 미니프로젝트(1차)6차 미니프로젝트(1차)6차 미니프로젝트(1차)


1. 5차 미니프로젝트


5차 미니프로젝트는 ASSO대비 문제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를통해 시험유형을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약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 실습코드는 보안상 업로드 불가능합니다.


2. 6차 미니프로젝트(1차)


crisp-dm을 활용하여 시계열 데이터 모델링, 상품별 판매량 예측을 진행하였습니다. 현시점 대비 2일 뒤 특정 물품들의 판매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1. 데이터 준비

  • 데이터는 sales_test, orders_test, oil_price_test, products, stores로 구성.
  • 데이터 전처리:
    • 날짜 관련 파생변수 생성 (요일, 월, 계절 등).
    • 카테고리별 판매량 및 방문객 수 통계 생성.
    • LeadTime 기반 판매량 타겟 변수 생성.

2. 모델링

(1) 모델 생성

  • 모델 사용: LSTM과 CNN.
  • LSTM 모델 구성:
    • 여러 층의 LSTM과 Dropout, Dense 레이어로 구성.
    • 각 상품별로 적절한 파라미터 설정.
  • CNN 모델 구성:
    •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으나, 이미지와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할 예정.

(2) 주요 성능 평가 지표

  • MAE: 평균 절대 오차.
  • MAPE: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
  • R2: 결정계수로 예측 모델의 설명력을 측정.

3.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 파이프라인 함수:
    • 입력: raw data.
    • 출력: x_test, y_test.
    • 예측값 생성:
      • Product_ID별 모델을 선택해 테스트 데이터에 적용.
    • 결과물: 실제값과 예측값을 포함한 데이터프레임 생성.

4. 비즈니스 평가

(1) 재고 평가 시뮬레이터

  • 목적: 평균 재고 금액을 산출하고, 재고 회전율 및 기회 손실을 분석.
  • 평가 메트릭:
    • 일평균 재고량재고 금액.
    • 재고 회전율.
    • 기회손실 수량.
  • 로직:
    • 기초재고 = 입고량 + 전날 기말재고.
    • 기말재고 = 기초재고 - 판매량.
    • 발주량 = 예측값 + 안전재고 - 기말재고.

(2) 예측 결과 평가

  •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값과 예측값을 기반으로 재고금액, 재고회전율, 기회손실 수량 확인.


3. 느낀점


상품별로 LSTM을 이용한 판매량 예측은 성능이 적절한 수준으로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과거의 데이터 분석시 상호 연관성이 높은 칼럼을 연결하면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이는것을 마지막 날 발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4. 실습 코드


6차 미니프로젝트(1차) 실습 코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언어지능 딥러닝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